이 글을 브런치에 쓸까 싶다가도 내 블로그를 찾아주는 고마운 개발자 여러분과 개발자 지망생이 있는 듯하여 그냥 여기에 작성해보기로 했다. 추후 포트폴리오로 쓰일 수도 있는 이 블로그에 이 글을 쓰는 것은 큰 문제가 될지도 모르지만, 이는 나와 같은 20대를 보내는 사람들에게 있어, 그리고 20대들이 겪는 흔한 고민 중 하나인 '꿈'을 생각하며 고민하는 것들에 대해 적어나가고 싶었다. 다른 직업도 아닌 개발자에 대해서 말이다. 고2 때부터 시작한 개발이 벌써 7년이 지났고, 여전히 개발자로 지내고 있다. 남들에게 이야기할만한 공식적인 개발 경력은 많이 없는 편이다만 이 일을 하면서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해 어느 정도 노력을 했다고 자부하며 이야기할 수 있다. 프로젝트를 위해 밤을 새운 적도 많고, 개발에 빠..
많은 일이 일어난 2020년도 거의 끝나간다. 올해 회고록의 제목은 이다. 많은 것들을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키워드로는 , 그리고 가 있다. 이 회고록은 개발에 관련된 것만을 적는 것이 아니라, 개발을 포함하여 올해 내게 일어났던 사건들이나 활동들을 어느정도 정리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 제작 (2020.01 - 2020.08) 2020년 들어 처음 시작한게 아마 강의 제작이 아닐까 싶다. 사실 첫 강의는 2019년에 나왔지만 품질향상을 위해 새로 리부트하기로 하여 다시 촬영을 하고 제작을 시작했다. 개발 공부는 했지만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할 만한 수단이나, 백수라서 딱히 돈벌이도 없었기 때문에 겸사겸사 시작한 것이었다. 2020년에 만든 강의는 총 세개, PHP 7+ 프로그래밍: ..
개발을 배우는 목적은 무엇인가? 당신은 왜 개발을 해보고 싶은가? 해보고 싶은 개발 분야는 무엇인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하기에 앞서 자신이 무엇을 위해 개발을 배우려고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인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주요 개발 분야마다 사용하는 메이저 프로그래밍 언어가 어느정도 다르기 때문이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주요 개발 업계에서 어떤 언어를 쓰는지 알아보자. 게임 C++/C# 웹 Javascript/Java/Kotlin/PHP 임베디드 C 인공지능/데이터 분석 Python/R 앱 Java/Kotlin/Swift 블록체인 Go/C++/Solidity/Javascript 사무 자동화 Python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특히 인공지능/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서문 이번에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개발자가 지양해야 할 공부법이다. 지향이 아니라 지양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자. 모두가 알다시피 공부법은 사람마다 다르기에 어떻게 공부해야 한다는 것보다도 어떤 공부법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쓰는 편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함수와 메서드 원형 및 목록 외우기 책을 보다보면 함수 및 메서드 목록이 몇 가지 수록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마치 영어단어 외우듯이 공부하는 경우를 본적이 있다. 함수에는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함수가 무엇을 리턴하고 어떤 것을 입력값으로 받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을 몽땅 외우는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는 영어 단어와는 다르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그저 함수의 이름 및 해당 메서드 및 함수가 어떤 패키..
서문 개발의 세계에는 웹 개발자, 인공지능 개발자, 데이터 엔지니어, 인프라 엔지니어 등 많은 직업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직업이 아닌 역할군의 의미로 분류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코더와 개발자다. 이 주제는 상당히 까다로운 주제여서 자칫 논란의 여지가 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지만, 나 역시 개발을 수 년간 해보면서 느낀바가 다소 있기 때문에 이 글을 작성해보기로 하였다. 많은 개발자들은 코더가 되길 꺼려한다. 간단히 말해 코더는 말 그대로 코드만 작성한다. 기획, 설계, 테스팅, 배포와 같이 프로덕션 사이클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하지 않고, 구현 그 자체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 코더다. 코더라는 말에는 비하의 의미가 섞여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자신에 대해 이런 말을 쏟아내는 것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