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스킨은 본래 기능의 많이 없었다가, 티스토리 블로거 여러분의 호응에 힘입어 기능의 추가와 함께 업데이트를 여러 번 하게 되었습니다. hELLO 1.0 때와 비교하면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의 기능과 품질 향상이 있었습니다. hELLO 스킨은 역사는 짧지만 유무료를 모두 포함한 티스토리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스킨을 통틀어 탑티어 안에 드는 스킨임을 자부합니다. 릴리즈 노트 hELLO v4.x 는 메이저 버전이 바뀐만큼 변경점이 많습니다. 성능은 이전 버전인 v3.6 과 비교했을 때 약 10%p ~ 20%p 정도 개선되었습니다. 외형 및 디자인의 경우 이전과 비슷하도록 계승하였으나 내부적으로 사용된 기술이 완전히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스킨을 처음부터 새로 빌딩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 밖..
티스토리 백업 티스토리 블로그의 백업 기능은 이전에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이는 티스토리 Open API 를 사용한 것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아주 단순하며, 그저 티스토리로 인증하고 백업을 시작하면 언제든 자신의 블로그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 본래는 웹페이지로 만들 예정이었으나, 보안상 브라우저에서는 가능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윈도우 10, 64비트 시스템에서 테스팅이 진행되었음을 알립니다. 다운받기 https://github.com/pronist/tistory-backup/releases/download/1.3.0/TistoryBackup.Setup.1.3.0.exe 크롬 등 일부 브라우저에서 던지는 다운로드 보안 알림은 무시해..
티스토리 기본 제공 스킨 티스토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스킨을 적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꾸미기 - 스킨 변경에서 원하는 스킨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적용 버튼이 나타날 것이니 적용시키면 끝이다. 사용자 정의 스킨 사용자 정의 스킨은 개발자가 만든 것이나, 자신이 만든 스킨을 포함한다. 티스토리 홈 - 스킨 - 이용자 제작 스킨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스킨은 바로 적용 시킬 수 없으며 각 스킨 배포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그리고, 지금부터가 본론이다. 스킨 등록하기 첫 번째 방법은 스킨을 등록하여 적용시키는 방법이 있다. 꾸미기 - 스킨 변경에서 스킨 등록 버튼을 누르면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skin.html, style.css 뿐만 아니라, images 폴더의 내부에 진입하여..
티스토리 플러그인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플러그인이란 블로그를 운영함에 있어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소소한 기능들을 말한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면서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그 중에는 메타 태그와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필수적으로 사용하면 좋은 것들도 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사용하기 적당한 플러그인을 추천해보고자 한다. 플러그인의 사용법 확인하기 플러그인의 사용법을 잘 모르겠는 경우에는 플러그인을 클릭하면 사용법을 알 수 있으며,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에도 설명을 해주고 있기는 하다. 다만, 오래된 내용도 있어서 내용이 구닥다리인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메타 태그 등록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네이버,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을 위해 제공해..
티도리 프레임워크 티도리 프레임워크는 개인 블로그를 위해 티스토리 스킨을 만들려고 하다가 현 티스토리 스킨 개발환경이 지닌 너무나도 구닥다리 방식에 현기증을 느낀 나머지 직접 개발환경을 만들어보자는 생각에 탄생한 프레임워크입니다. 티도리는 오직 티스토리 스킨 제작만을 위해 구성되었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스킨 또한 티도리로 개발되었습니다. 세상은 변했지만, 티도리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티스토리 스킨 개발 방법은 여전히 과거에서 벗어나질 못했었습니다. skin.html, style.css 에 기능별로 분리되지 않은 채 모든 코드를 욱여넣어야 했으며, Webpack 과 같은 번들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nodejs, npm 와 같이 자바스크립트 생태계에 중요한 요소들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