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작문/칼럼

개발자가 지양해야 할 공부법

서문 이번에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개발자가 지양해야 할 공부법이다. 지향이 아니라 지양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자. 모두가 알다시피 공부법은 사람마다 다르기에 어떻게 공부해야 한다는 것보다도 어떤 공부법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쓰는 편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함수와 메서드 원형 및 목록 외우기 책을 보다보면 함수 및 메서드 목록이 몇 가지 수록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마치 영어단어 외우듯이 공부하는 경우를 본적이 있다. 함수에는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함수가 무엇을 리턴하고 어떤 것을 입력값으로 받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을 몽땅 외우는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는 영어 단어와는 다르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그저 함수의 이름 및 해당 메서드 및 함수가 어떤 패키..

언어 & 프레임워크/Go

Go: Hello, Go

이 블로그에 쓰는 첫 번째 Go 포스팅이다. 여기서는 Go 의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고 분석해보며, Go 의 몇 가지 특징도 함께 언급해보기로 하겠다. 보통 프로그래밍 진입할 때 바로 Go 로 하는 경우는 별로 없기에 프로그래밍 입문자를 위한 포스팅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보기엔 어려울 수도 있으니 읽을 때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과감하게 넘기거나 검색을 해보자. Hello, Go Go 의 Hello, Go 코드는 다음과 같다. 이 코드만 보더라도 설명 해볼만한 것이 상당히 있다. 소스 파일의 hello.go 라고 가정했을 때, go run hello.go 를 통해 실행해보면 Hello, Go! 라는 문구가 콘솔에 출력될 것이다. packa..

작문/칼럼

코더가 아닌, 개발자가 되려면

서문 개발의 세계에는 웹 개발자, 인공지능 개발자, 데이터 엔지니어, 인프라 엔지니어 등 많은 직업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직업이 아닌 역할군의 의미로 분류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코더와 개발자다. 이 주제는 상당히 까다로운 주제여서 자칫 논란의 여지가 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지만, 나 역시 개발을 수 년간 해보면서 느낀바가 다소 있기 때문에 이 글을 작성해보기로 하였다. 많은 개발자들은 코더가 되길 꺼려한다. 간단히 말해 코더는 말 그대로 코드만 작성한다. 기획, 설계, 테스팅, 배포와 같이 프로덕션 사이클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하지 않고, 구현 그 자체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 코더다. 코더라는 말에는 비하의 의미가 섞여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자신에 대해 이런 말을 쏟아내는 것에..

포트폴리오

티스토리 구독 서비스 티네스(Tines) 개발 돌아보기

티스토리 이웃 서비스, 티네스(Tines) 티스토리에는 지난 수년 간 구독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았다. 지금은 구독 서비스가 추가된지 몇 년이 지났고, 티스토리가 고수하던 티스토리 초대장이 있어야만 블로그를 만들 수 있었던 때도 이미 지나가고 없다. 내가 개발자로 성장하는 동안에도 이러한 구독서비스는 없었는데,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이고서는 한 번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티네스 서비스는 2018년에 운영, 개발되었고, 현재 운영 중단 상태. 1년도 운영되지 못했다. 내가 티네스를 만들고 1년 내에 티스토리가 구독 서비스를 런칭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눈물을 머금고 서비스를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 내 소중한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었던 것이었는데! 참으로 아쉽기만 하다. 어떤 기능을 제공했나? 웹 서..

컴퓨터과학/자료구조

C언어로 자료구조 만들기 - 트리(BST, Binary Search Tree)

이번에는 나를 가장 화나게 했던 트리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무슨 욕심으로 트리까지 만들려고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구현은 어느정도 되었으니까 다행이다. 여러 번 포기할 뻔 했다. 다른 부분보다도 특히 트리의 삭제부분에서 큰 문제를 겪었기 때문에 이번 포스트는 다소 화가 섞여있을지도 모른다. 트리(Tree) 구현해두었던 트리는 이진 탐색 트리(BST, Binary Search Tree)다. 이진 트리이므로 자식을 두 개씩 가질 수 있다. BST 의 경우, 부모 노드를 기준으로 값이 큰 것은 오른쪽에, 값이 작은 것은 왼쪽에 자리한다. Tree 트리는 일단 기본적으로 루트 노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루트 노드 만큼은 구조체 안에다가 넣어두자. 그런데 아래의 코드 에서 _searchStack 은 어디에 쓰..

정상우
'개발' 태그의 글 목록 (2 Page)